팔지 말아야 할 때
우리는 팔아야할 때 보다 팔지 말아야 할때에 대해서 훨씬 많이 생각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투자자가 생각하는 '팔아야 할때'는 '팔지 말아야 할 때'입니다. 매도 타이밍이라고 이야기하는 여러 상황에 매도를 해봤자 초과수익을 내는 데는 그다지 도움이 안 됩니다.
차익 실현에 대한 욕구, 매크로에 대한 두려움, 특정한 차트 모양, 어닝 쇼크, 이익 모멘텀 소진, 꽤 비싼 프리미엄 등 손가락을 근질거리게 해서 결국 매도 버튼을 누르게 만드는 사유는 아주 다양합니다. 그러나 보통은 상승 잠재력이 하락 잠재력보다 큽니다. 특히나 피셔의 기준을 통과한 회사라면요. 어설픈 매매로 주식을 팔아버리고 나면, 이후에 주가가 오른든 떨어지든 다시는 그 주식을 살 수 없는 일이 허다합니다.
피셔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일시적으로 고평가된 기업의 주가가 혹시 급락하더라도 이를 감수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주식을 팔고 주가가 떨어지면 적당한 시점에 재매수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투자자들은 내가 지금까지 관찰한 바로는 절대 이런 주식을 다시 사지 못합니다.
진정 팔아야 할때는 다음 3가지 뿐입니다.
팔아야 할 때
피셔는 팔아야 할 때를 3가지로 제시합니다.
1) 내가 잘못 판단한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
2) 회사가 더 이상 훌륭하지 않아졌을 때
3) 더 좋은 기회를 발견하였을 때
첫 번째, 명확합니다. 잘못 생각했으면 미련없이 떠나야 하지요. 그러나 우리 마음에는 경로 의존성이라는게 있어서 잘못을 인정했더라도 포지션을 정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애초에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도 쉽지 않고 말입니다.
두 번째, 명확합니다. 회사에 투자한 이후에도 새로운 사실은 계속 등장하고, 기존에 알던 사실도 새롭게 해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이란 마음이 참 묘합니다.1)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언제나 원점에서 다시 사고하는 연습을 해야합니다.
이 두 가지를 합쳐서 저는 '아이디어가 소진되었을 때'라고 표현합니다. 원점에서, 즉 내가 이 주식들의 포지션이 없다고 가정하고, 모든 지식과 경험은 그대로 가지고 있는 채로 이 주식을 보았을 때, '사고싶은 마음이 드는가, 든다면 얼마나 사고싶은가'라는 질문을 합니다. 여기서 딱히 그럴듯한 대답이 나오지 않으면 뭔가 잘못된 것입니다. 이 질문은 보유기간 내내 꾸준히 던질 필요가 있습니다.
세번째인 '교체매매'는 상당히 주의해야 합니다. 더 매력적인 기업을 발견했다고 말할 수 있으려면 주식의 상승 잠재력과 하락 잠재력을 계산해 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피셔의 기준을 통과한 훌륭한 기업이 어떤 성과를 내는지를 직접 체험하려면 장기간 보유해봐야만 합니다. 아직 이런 방식에 익숙하지 않는 투자자가 상대비교를 하는 일은 상당히 위험합니다.
상대비교는 투자 의사결정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치를 산정할 때도, 할인율을 정할 때도 모두 상대적인 비교가 필요합니다.
"의사 결정을 함에 있어서 세 가지가 중요한데, 하나는 선택이요, 둘째도 선택이요, 셋째도 선택이다"
타이밍의 재구성
미래 시나리오의 확률분포에 따는 베팅 값을 구하는 '켈리 기준'이라는 공식이 있습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베팅 비율 = p/a - q/b
p는 승리 확률
q는 패배 확률
a는 패배 시 손실액
b는 승리 시 이익금
켈리 기준은 동일한 게임이 계속 반복된다고 했을 때, 주어진 확률 분포에서 얼마를 배팅해야 재산을 장기적으로 가장 크게 불려 나갈 수 있는지를 이야기해주는 공식입니다. 너무 공격적이면 게임에서 졌을 때 타격이 클 테고, 너무 보수적이면 게임에서 이겨도 버는 돈이 별로 없겠지요. 그 중간 어디쯤엔가 있을 최적 지점을 켈리 공식이 찾아줍니다.
필립피셔가 이야기 한 매매 시점을 켈리 기준의 관점에서 재구성해보는 건 꽤 의미 있는 일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주식의 현재 가격이 1만원이고, 좋은 시나리오에서 잠재적으로 2만원까지 상승 할 수 있고 나쁜 시나리오에서 잠재적으로 3000원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해봅시다. 승리와 패배의 확률은 간단하게 50:50이라고 하겠습니다. 켈리 기준에 따른 베티 비율은 0.5/0.7-0.5/1=21%
b값의 고정 승리시 금액을 달리 줌에 따라 베팅 비율은 달라진다.
채널체크, 사실수집
"성공한 사람과 진정 성공한 사람과의 차이는, 진정 성공한 사람은 거의 모든 선택지에 '아니오'라고 대답한다는 것이다" 워런 버핏
'책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투자 처음공부 (0) | 2024.03.28 |
---|---|
비폭력대화(NVC) (0) | 2023.11.24 |
김경일의 지혜로운 인간생활 (0) | 2023.06.19 |
열두발자국 (2) | 2023.05.30 |
셰팔리 차바리『깨어있는 부모』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