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메타버스

요즘 주식, 경제에서 너무나 핫한 주제인 메타버스, NFT(대체불가능토큰)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가리킨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단지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메타버스는 1992년 미국 SF작가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이 소설 《스노 크래시(Snow Crash)》에 언급하면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이 소설에서 메타버스는 아바타를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는 가상의 세계를 가리킨다. 그러다 2003년 린든 랩(Linden Lab)이 출시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게임이 인기를 끌면서 메타버스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메타버스는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의 5G 상용화와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확산되기 시작했다.
즉, 5G 상용화와 함께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했고,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온라인
추세가 확산되면서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중에서


게임업계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오늘날 메타버스 시장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기와 같은 하드웨어보다 콘텐츠가 이끌고 있으므로,
참신한 게이밍 콘텐츠를 제작해온 게임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메타버스가 현재 나와있는 제품으로는 크게 게임, 제페토와 같은 플랫폼, 구글 earth2 등이 있다.

1. 게임

내가 경험해본 메타버스 게임은 마인크래프트와 로블록스 정도이다.
첨엔 너무 막연해서 손에 잡히지 않는 구름같았다.
우리가 처음 마인크래프트를 처음 접한건 5년전쯤이다.
요즘들어 마인크래프트를 메타버스라고 하지 그 당시에는
메타버스라는 개념도 확실하지 않은 시절이었다.
본인이 집을 짓고 자기만의 캐릭터를 만들고 자기만의 애완동물도 키우고,
친구들과 같이 온라인으로 그 공간에서 놀 수도 있다.
로블록스도 비슷한 개념이라고 보면 되는데,
남극탐험같은 맵에 들어가서 남극에 깃발을 꽂고 해저탐사도 하고,
실제로 내가 남극에 간거처럼 화면을 구성해 놓았다.
예전 우리가 알던 일방적인 게임과는 달리 내가 게임안에서 게임을 만들고 맵도 만들어서
그 공간에서 친구들과 같이
모여 놀 수 있는 하나의 가상세계가 되어 버린 것이다.

2. 플랫폼

제페토는 네이버제트에서 운영하는 AR아바타 서비스로,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여기서 메타버스는 VR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2018년 8월 출시된 제페토는 AR 컨텐츠와 게임,
SNS 기능을 모두 담고 있어 특히 10대 등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고, 2021년 현재 2억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검색해서 설치하고 캐릭터 만들기를 한다.
그러면 우리가 흔히 이야기는 부캐가 만들어지는것이다.
이미 페이스북에서는 메타버스 가상현실안에서 회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코로나19가 더 이러한 현상을 가속화시켰다고 보면된다.
미국에서는 구 페이스북 현 메타로 사명을 변경한 메타가 이끌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고,
메타에서 VR기기인 오큘러스를 2014년 23억달러(약 2조 7천억원)에 회사를 인수했다.
실제 오큘러스를 구입해서 사용 해 보았는데
약간 어지럽지만 나이아가라 폭포라던지 모든 가상세계가 360도
다 구현되어 있어 정말 생동감 있었다.
앞으로 세대가 거듭될수록 어지럽지 않고 현실세계와 비슷한 형태를 구현해 내리라 생각한다.
이런 하드웨어적인 기기들 또한 가상세계에 한층 힘을 실어줄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아래는 구글 earth2 이다.
https://earth2.io/
가상부동산인데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구입을 하고 있고 한 정사각형 단위당 몇 개월전에는 약 10달러 전후로 구매했다고 한다.
현재는 가격이 더 올랐으리라.

earth2 메인화면
2021년 12월 13일 서울 롯데타워 거의 선점됨

한국에서는 '세컨서울'이라고 엔비티에서 만든 가상의 세컨서울이 인기다.
정사각형 한개당 회색은 투자모집인구가 1000명이면 1000명이다 배당이 되었고, 보라색부분은 아직 여유가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코인도 종류가 있을테고, 해당 플랫폼들이 통합이 어떻게 될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실제 가상세계 안에서 메타는 팀미팅을 하고 있고,
우리가 강남에 어느땅을 사서 해두고 거기에 옷가게를 열어서 판매를 하면
소비자는 쇼핑을 하고 실제 물건이 집으로 배달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조만간 가능하리라 본다.

현재 위메이드의 게임사에서 쓰는 코인인 위믹스가 동남아에서 위너인것처럼 메타버스 플랫폼도 경쟁을 하지않을까 생각한다.
여러개의 가상공간 중에 가장 편리하고 사용자가 많은
플랫폼을 가진 회사가 위너가 되겠지.
혹자는 가상공간의 마지막은
홀로그램(3차원 영상으로 된 입체사진)이라고 한다.
영화에서 손으로 터치하면 내 눈앞에 쨘하고
화면이 나오는것을 많이 보았을것이다.
홀로그램을 이야기 하자면 너무 길어지니 다음에 한번 공부해 보기로 하자.
메타버스는 게임, 부동산, 교육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또 진짜를 구분하는 NFT를 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NFT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한 일종의 디지털진품 증명서이다.
NFT는 위조 불가능하고 소유권 증명이 쉬원 특성을 갖고 있기에 게임 아바타나 아이템 거래에 활용 가능하다.
오늘날 게임사의 고과금 및 확률형 아이템 이슈로 이용자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NFT는 게임을 즐기며 돈을 벌 수 있는 P2E(Play to earn)트렌드를 실현시킬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게임, 메타버스, NFT, 코인의 상관관계는 아주 깊다.
우리도 주식이나 기업을 볼때 어떤 산업의 섹터가 발전할 것인지 잘 보고,
그 기업들 중에 어떤 기업이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보고
그 다음 투자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